정의 | 동학농민혁명 당시인 10월 21일 홍천 지역 동학농민군이 경기 지평의 맹영재가 끌고 온 민보군과 격전을 치른 곳으로 30여명의 동학농민군이 전사한 곳 | ||
---|---|---|---|
주소 |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산 145-1(전투지), 683(사인순 묘) | ||
종류 | 기타 | 유적지분류 | 사건유적 |
등급 | 문화재 지정사항 | ||
위치고증 | 『갑오실기』('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 6), 『고종실록』 고종 31년 11월 2일 등에 장평리(장야촌) 전투에 대한 기록이 나오며, 전투 장소는 사인순의 시신을 수습해온 지역(후손 사영환의 증언)을 중심으로 추정하였다. | ||
현재상태 | 기념물이 없다. |
정의 | 동학농민혁명 당시 강릉관아를 점령한 동학농민군을 공격하기 위해 강릉 민보군을 지휘했던 이회원의 집 | ||
---|---|---|---|
주소 | 강원도 강릉시 운정동 431 | ||
종류 | 가옥 | 유적지분류 | 인물유적 |
등급 | 문화재 지정사항 | 중요민속자료 제5호 | |
위치고증 | 이회원이 살던 선교장은 지금까지도 당시의 위치에 잘 보존되어 있다. | ||
현재상태 | 동학농민혁명과 무관하게 조선시대 양반 가옥(1703년 건립)의 전형으로 평가되어 1965년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보존되어 있다. |
정의 | 동학농민혁명 당시 동학농민군이 점령하고 폐정개혁을 실시했던 강릉관아[임영관(臨瀛館)]가 있던 곳 | ||
---|---|---|---|
주소 | 강원도 강릉시 용강동 58-1 | ||
종류 | 건물 | 유적지분류 | 사건유적 |
등급 | 문화재 지정사항 | 국보 51호(객사문) | |
위치고증 | 『동비토론(東匪討論)』('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東學農民戰爭史料叢書)' 12), 『임영토비소록(臨瀛討匪小錄)』('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 12) 등에 관련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 ||
현재상태 | 기념시설 없음. 국보 제51호로 지정된 [객사문] 주변으로 관아를 복원해두었다. |
정의 | 동학농민혁명 당시 홍천의 대접주 차기석과 여량 접주 이중집 등 강 원지역 동학농민군들이 처형된 곳 | ||
---|---|---|---|
주소 | 강원도 강릉시 용강동 47-8, 52-1 | ||
종류 | 기타 | 유적지분류 | 사건유적 |
등급 | 문화재 지정사항 | 중요민속자료 제5호 | |
위치고증 | 『임영토비소록(臨瀛討匪小錄)』('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 12)에 “사대(射臺)앞에 교장(敎場)을 열어 두 놈의 목을 베고, 여량의 괴적인 이중집(李仲集)등 7명을 포살하였다”는 기록이 나오며, 사대는 현재 강릉여중 자리에 있었다. | ||
현재상태 | 아무런 기념시설이 없다. |
정의 | 1880년 해월 최시형이 동학의 경전인 『동경대전』을 최초로 간행한 김현수의 집터 | ||
---|---|---|---|
주소 | 강원도 인제군 남면 갑둔리 769번지 | ||
종류 | 가옥(터) | 유적지분류 | 사건유적 |
등급 | 문화재 지정사항 | ||
위치고증 | 『최선생문집도원기서』, 『천도교회사초고』 등에 관련 사실이 기록되어있다. 김현수의 집터가 현재 폐교가 된 어론초등학교 갑둔분교 인근(현 사격장)이었다는 사실은 천도교 측에서 구전 등을 통해 확인하였다. | ||
현재상태 | 현재 군부대의 사격장이 되어 있다. |
정의 | 동학농민혁명 당시인 1894년 11월 6일 정선에 모여 있던 동학농민군이 일본군과 강원 감영병과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던 곳 | ||
---|---|---|---|
주소 |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리 60-5 | ||
종류 | 기타 | 유적지분류 | 사건유적 |
등급 | 문화재 지정사항 | ||
위치고증 | 정선지역 동학농민군의 활동은 『동비토론』('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 12) 등에서 보인다. 위치는 천도교 상주 선도사였던 표영삼 선생에 의해 고증되었으며, 홍천군, 『홍천 풍암리 동학혁명군전적지 성역화사업 기본계획』, 2004, p.48에 동학농민군 처형 장소가 기록되어 있다. | ||
현재상태 | 현재 기념시설이나 표석이 없다. |
정의 | 동학농민혁명 당시인 1894년 10월 말경 봉평 지역 동학농민군과 포수들로 구성된 이 지역의 민보군 간에 전투가 벌어졌던 곳 | ||
---|---|---|---|
주소 | 강원도 평창군 봉평면 원길리 767-1, 767-2, 773, 774번지 일대 | ||
종류 | 기타 | 유적지분류 | 사건유적 |
등급 | 문화재 지정사항 | ||
위치고증 | 『동비토론』('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 12) , 『임영토비소록』('동학농민전쟁사료총서' 12) 등에 이 지역 동학농민군과 민보군의 활동 및 전투 상황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광섭옹(1990년 당시 72세)이 자신의 조부(1864년생)로부터 전해들은 사리평 전투 상황을 전해주었다. | ||
현재상태 | 기념시설이나 기념물이 없다. |
정의 | 동학농민혁명 당시인 1894년 11월 평창지역 동학농민군과 일본군 및 관군·민보군의 연합군 사이에 대규모 전투가 벌어졌던 곳 | ||
---|---|---|---|
주소 |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후평리 일대 | ||
종류 | 기타 | 유적지분류 | 사건유적 |
등급 | 문화재 지정사항 | ||
위치고증 | 『동비토론』, 『임영토비소록』 등에 관련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 ||
현재상태 | 현재 기념시설이나 표지석이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