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 |||
2025년 8월 14일 배포 | | 배포 즉시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총 4쪽(붙임 포함) | | 담당부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부 | |
연구조사부장 이병규(063-530-9430) / 담당자 조한빛(063-530-9433) | |||
| |||
지역을 넘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동학농민혁명기록물’만난다... 순회전시 시작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2025년 찾아가는 순회전시 ‘세계에 새겨진 혁명의 기록’ 전라권 4개 기관에서 개막 -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사장 신순철)은 8월 18일부터 찾아가는 순회전시 ‘세계에 새겨진 혁명의 기록’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번 순회전시는 세계기록유산 홍보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국가유산청,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가 함께 주최하며,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이 전시총괄을 맡아 (개막 순서대로) 장흥군,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국립순천대학교, 남원다움관이 공동 주관한다.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은 1894년부터 1895년까지 조선에서 부패한 지도층과 외세의 침략에 맞서, 평등하고 공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봉기하였던 동학농민혁명에 관한 총 185건의 문건이다. 2023년 5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세계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았다.
이에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에서는 지역을 넘어 동학농민혁명기록물에 내포된 인류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고, 동학농민혁명의 세계사적 의의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순회전시를 기획했다. 장흥동학농민혁명기념관(8월 18일 ~ 30일)을 시작으로 국립아시아문화전당(9월 3일 ~ 13일), 국립순천대학교박물관(9월 16일 ~ 26일), 남원다움관(10월 1일 ~ 12일)까지 전라권 4개 기관에서 운영한다.
1부 ‘변화와 개혁의 기록–평등한 세상을 꿈꾸다’, 2부 ‘협치와 상생의 기록–집강소를 세우다’, 3부 ‘자주와 항전의 기록–외세의 침략에 맞서다’, 4부 ‘정의와 인권의 기록–민주주의의 뿌리가 되다’ 및 프롤로그, 에필로그, 아카이브 존, 교육체험 존 등으로 구성했다. 총 30여 건의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을 만나볼 수 있으며, 그 속에 담긴 인간 존중과 평등, 민주, 정의, 인권, 자주, 평화 등 소중한 핵심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장흥에서 시작되는 1회차 순회전시의 개막식은 8월 18일(월) 오후 3시에 장흥동학농민혁명기념관 1층 일대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전시해설과 더불어 장흥에서 동학농민군을 이끌었던 여장군 이소사를 주제로 한 단막극 등 부대행사도 준비됐다.
신순철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이사장은 “이번 순회전시를 통해 세계에 새겨진 동학농민혁명의 기록을 마음속 깊이 되새기고, 전 인류와 함께 할 소중한 가치를 확인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며 “올해의 성과를 토대로 향후에는 충청권, 경상권, 강원권, 서울·경기권으로까지 외연을 확장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 순회전시 키비주얼 및 1회차(장흥) 초대장 3종 각 1부.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부장 이병규(☎ 063-530-9430), 연구조사부 학예연구사 조한빛(☎ 063-530-9433)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붙임 1. 순회전시 키비주얼
붙임 2. 순회전시 1회차(장흥) 초대장 3종